카테고리 없음

📘 “유튜브발 건강기능식품 허위광고, 어떻게 막을까?”

대깨부 2025. 4. 21. 22:19
반응형

 


세상사 이모조모 #17

 

1. 왜 이렇게 건강기능식품 허위광고가 많을까?

 

1-1. 미디어 환경 변화

  • 유튜브·인스타·틱톡 등 SNS 숏폼의 확산으로 누구나 제품을 홍보할 수 있는 시대.
  • 비전문인도 건강정보를 퍼뜨리며, **‘1인 광고 대행사’**처럼 행동함.

1-2. 소비 심리 자극

  • “3일 만에 감량”,먹기만 해도 탈모 멈춰요같은 문구는 사람의 불안과 욕망을 자극.
  • 효과를 과장하거나, 인증되지 않은 성분을 과학처럼 포장.

1-3. 가짜 전문가와 '바이럴 광고'

  • 의사·약사처럼 보이는 가짜 전문가 출연.
  • PPL(간접광고), ‘내돈내산인 척하는 광고성 콘텐츠가 실제로는 업체가 대본까지 제공한 경우 많음.
  •  


2. 이게 문제다! 허위·과장광고의 위험성

 

⚠️ 2-1. 건강 위협

  • 실제로는 의약품 성분을 불법 첨가한 경우도 있음.
  • 검증 안 된 제품 복용으로 간 손상, 심장 문제 사례도 발생.

⚠️ 2-2. 소비자 피해

  • 돈 낭비는 물론이고, 치료 시기를 놓쳐 병을 키움.
  • 탈모나 비만 같은 민감한 문제로 심리적 불안까지 확대.

⚠️ 2-3. 시장 혼탁

  • 정직하게 판매하는 기업이 오히려 불이익.
  • 진짜 과학보다좋은 말, 예쁜 포장이 이기는 구조.
  •  

 

3. 세계 각국은 어떻게 막고 있을까?

 

🌍 3-1. 미국: FDA & FTC의 철저한 감시

  • **FDA(식품의약국)**는 기능성 주장 시 임상자료 요구.
  • **FTC(연방거래위원회)**는 과장광고에 거액 벌금 부과.

🇪🇺 3-2. 유럽연합(EU)

  • **EFSA(유럽식품안전청)**의 인증 없이는 건강 주장을 광고에 사용할 수 없음.
  • 면역력 향상같은 문구도 공식 허가받아야 사용 가능.

🇯🇵 3-3. 일본

  • 기능성 표시식품 제도사전신고 후 판매 가능.
  • 근거자료를 제출하지 않으면 기능성 표현 사용 금지.

4. 대한민국의 법과 단속 체계

⚖️ 4-1. 관련 법률

  •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 식품위생법, 표시·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 전자상거래법: 온라인 판매 광고 규제

 

🕵️ 4-2. 단속기관

기관 역할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 기능성 인정, 광고 심의 및 행정처분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 소비자 기만 광고 단속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심위) 유튜브 등 방송·영상 콘텐츠 모니터링
사이버수사대, 경찰청 불법 의약 성분 사용 등 형사처벌 대상 수사

 

⚙️ 4-3. 단속 방식

  • 키워드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 (: ‘다이어트’, ‘탈모’, ‘면역력등 자동 필터링)
  • 온라인 허위광고 감시단운영
  • 위반 시: 과징금, 광고 중지 명령, 형사고발까지 가능

5.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 소비자를 위한 실전 팁

  • 질병 치료라는 말이 있으면의약품 아니면 불법
  • 식약처 인증 마크 없는 기능성 주장은 90% 이상 과장
  • 지인 추천”, “먹어봤는데 진짜임등 후기 광고는 의심
  • 제품명 + “허위 광고로 검색해 보기

 

🧑‍⚕️ 전문가 입장에선?

  • 기능성은 과학의 영역입니다. 신뢰는 증거에서 나옵니다.

     건강정보는 공식 기관 자료, 전문의 상담을 최우선

 


 📘유튜브발 건강기능식품 허위광고, 어떻게 막을까?”

 

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광고, 우리가 지켜야 할 건강의 선


🎯 SNS 진짜 같은 거짓’이 넘쳐난다

요즘 유튜브나 쇼츠(Shorts), 인스타그램 같은 SNS에선 다이어트, 탈모, 면역력 강화 등을

 

내세운 건강기능식품 광고가 넘쳐납니다.


3일 만에일만에 5kg
감량!”, “이 약 하나면 탈모 끝!” 같은 자극적인 문구는

 

누구나 한 번쯤 클릭하게 만들죠.

 

하지만 그게 문제입니다. 진짜처럼 보이는 광고들 중 상당수가 허위 또는 과장 광고입니다.


검증되지 않은 정보, 가짜 전문가, 심지어는 불법 성분이 섞인 제품까지 판매되고 있죠.


 

⚠️ 소비자 건강을 위협하는 허위광고

 

이런 허위광고는 단순한 마케팅 문제가 아닙니다.

  • 간 건강 이상, 심혈관계 부작용 등 직접적인 피해 사례도 발생하고 있으며
  • 정직하게 제품을 만든 업체는 오히려 외면당하는 시장 혼탁도 심각하죠.
  • 무엇보다 소비자는믿음이라는 이름으로 속고, 시간과 건강을 동시에 잃습니다.

💡 일반 시민이 꼭 알아야 할 지혜 5가지

  1. 질병 치료문구가 있으면 일단 의심의약품이 아니면 광고 금지입니다.
  2. 공식 인증 마크 있는지 확인식약처 인증 제품에는 고유 마크가 있습니다.
  3. 먹어봤는데 진짜 효과후기형 광고대부분 업체에서 제작한 PPL 가능성 높음
  4. 제품명 + ‘허위 광고’ 검색해보기소비자 후기와 기사로 진실이 드러나는 경우 많음
  5. SNS 정보는 정보일 뿐, 치료나 효과는 병원에서 확인!

🙌 마무리우리가 지켜야 할 진짜 건강

SNS는 편리하지만, 그 안에 있는 정보가 모두 진실은 아닙니다.


눈에 보이는 화려한 광고보다, 보이지 않는 과학적 근거와 공식 인증을 믿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건강은 믿음이 아닌 근거로 지키는 것!”


이 글이, 허위광고 속에서 여러분이 건강을 지키는 데 작은 등불이 되길 바랍니다.

 

 

## 대깨부의 한마디~~~~~

 

            허위광고를 거부한다.    스스로 판단하는 힘을 키웁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