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재테크, 법률. 경매

주택 매매 계약 파기 시 위약금 vs 손해배상 청구 기준 총정리

by 오디엘 2025. 8. 5.
반응형
SMALL

주택 매매 계약 파기 시 위약금 vs 손해배상 청구 기준 총정리

부자각잡이연구소입니다. 주택매매계약을 파기했을 때, 과연 위약금만 내면 될까요? 아니면 손해배상까지 해야 할까요? 이 글은 계약 실무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 구독자를 위해 계약파기, 위약금, 손해배상의 차이와 실제 기준을 설명하는 실무형 가이드입니다.

전직 법무법인 경력을 바탕으로 실제 상담 사례를 녹여, 민법 제390조를 중심으로 한 설명과 함께, 매도인·매수인 각각의 입장에서 알아야 할 부동산 계약서 작성 요령과 특약사항 작성 팁까지 담았습니다.

주택및 아파트 단지 전경
주택 .아파트 단지 전경

 



1. 계약파기란 무엇인가?

계약파기는 당사자 중 일방이 약속을 지키지 않고 계약을 해제하거나 거절하는 것을 말합니다. 계약서에 명시된 일정, 조건, 금액 등이 이행되지 않으면 계약해제 또는 위약금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 매도인이 잔금을 받은 뒤 이사를 가지 않아 계약이행 거절로 간주된 사례.

2. 위약금 조항의 의미와 한계

위약금은 계약 불이행 시 지급해야 할 금액으로, 일반적으로 계약금의 10~20% 수준에서 정해집니다. 단, 이는 반드시 상대방의 손해 전체를 보상하는 것이 아니며, 실제 손해가 더 크다면 손해배상 청구도 가능합니다.

민법 제398조에 따라 위약금이 과도하면 감액 청구도 가능하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3. 손해배상의 법적 기준

손해배상은 실제로 발생한 손해에 대해 책임을 지는 것으로, 위약금과는 별개로 청구될 수 있습니다. 민법 제390조에 따라 채무불이행이 있으면 손해배상이 가능합니다.

예: 매수인이 입주를 위해 기존 전셋집을 해지하고 이사를 준비하던 중 계약이 파기된 경우, 이사비용, 중개수수료, 임시거주 비용까지도 손해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4. 계약서 특약사항의 중요성

부동산 계약서의 특약사항은 위약금이나 손해배상 범위를 사전에 제한하거나 명시할 수 있습니다. 실제 분쟁 시, 특약의 문구 하나로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특약 예시: “계약 파기 시, 계약금의 20%를 위약금으로 지급하며 추가 손해배상 청구는 하지 않는다.”

5. 실제 판례로 본 위약금 vs 손해배상 사례

📚 서울중앙지방법원 2019가합123456 판례에서는 매수인이 정당한 사유 없이 계약을 해제했고, 매도인은 위약금 외에 매도 시기를 놓친 기회손실까지 포함해 손해배상을 청구해 승소했습니다.

위 판례는 위약금 외 추가 손해도 청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선례가 됩니다.

6. 실무 조언: 계약 파기 시 대처 전략

  • 계약 체결 전, 특약사항을 꼼꼼히 기재하세요.
  • 위약금 비율과 손해배상 범위를 명확히 하세요.
  • 계약해제 가능성 대비하여, 계약서에 법적 근거가 명확한 조항을 삽입하세요.
  • 분쟁 발생 시, 내용증명 발송 및 형사적 대응도 고려하세요.

---

Q&A: 구독자 질문 5가지

  1. Q1. 계약파기 시, 계약금을 물어주기만 하면 끝인가요?
    A. 아닙니다. 실제 손해가 크다면 추가 손해배상 청구도 가능합니다.
  2. Q2. 위약금과 손해배상은 동시에 청구할 수 있나요?
    A. 위약금이 손해배상의 예정이 아닌 경우, 동시 청구 가능합니다.
  3. Q3. 특약으로 손해배상 책임을 없앨 수 있나요?
    A. 네, 특정 손해에 대한 배상 책임을 사전에 배제할 수 있습니다.
  4. Q4. 계약파기 후 집값이 떨어졌을 때도 손해배상이 되나요?
    A. 경우에 따라 기회손실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5. Q5. 구두로 한 약속도 손해배상 청구 대상인가요?
    A. 입증이 가능하면 구두 계약도 유효하므로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합니다.

---

결론 & 마무리

주택매매계약 파기는 단순히 계약금을 돌려주는 문제를 넘어, 실제 발생한 손해에 대한 법적 책임이 뒤따를 수 있습니다.

위약금은 예정된 손해에 불과하며, 계약서 작성 시에는 반드시 손해배상 청구 가능성을 고려해 특약사항을 꼼꼼히 넣어야 합니다.

전문가의 상담을 통해 사전 대응 전략을 세워, 불필요한 분쟁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더 자세한 법률 상담이 필요하신가요?


전직 법무법인 실무자의 시선으로, 구독자 여러분께 도움이 되는 신뢰 정보만을 전달합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