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금 산출·조회 방법 총정리|정부 공식 계산기 & 기관 사이트 모음

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재테크, 법률. 경매

퇴직금 산출·조회 방법 총정리|정부 공식 계산기 & 기관 사이트 모음

by 오디엘 2025. 11. 20.

퇴직금 산출·조회 방법 총정리|정부 공식 계산기 & 기관 사이트 모음

퇴직을 준비할 때 가장 중요한 정보가 바로 퇴직금 계산과 조회 방법입니다. 계산식이 복잡하거나, 어디서 확인해야 하는지 몰라 놓치는 경우도 많습니다. 오늘은 정부 기준에 맞춘 퇴직금 산출 공식부터, 실제 조회 가능한 기관 사이트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1. 퇴직금 산출 공식 (근로기준법 기준)

퇴직금은 한 가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퇴직금 = 1일 평균임금 × 30일 × 근속연수

이때 1일 평균임금은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1일 평균임금 = 퇴직 직전 3개월 총임금 ÷ 3개월 총 일수

2. 평균임금에 포함되는 항목

✔ 포함되는 항목

  • 기본급
  • 고정 수당(식대·직책 등)
  • 연장·야간수당
  • 정기 상여금
  • 매월 지급되는 임금

❌ 포함되지 않는 항목

  • 실비(출장비·복리후생비)
  • 경조사비
  • 복지포인트 등 일시 지급

3. 퇴직금 계산 예시

예를 들어 퇴직 전 3개월 급여 총액이 750만원, 근속기간 5년이라면:

  • 1일 평균임금 = 750만원 ÷ 90일 = 약 83,333원
  • 1년 퇴직금 = 83,333원 × 30일 = 약 2,499,990원
  • 총 퇴직금 = 약 1,249만원

4. 퇴직금 조회 방법 (정부 및 기관)

① 고용노동부 ‘퇴직금 모의계산기’

정부 공식 계산기로 가장 정확한 산출이 가능합니다.

▶ 검색: 고용노동부 퇴직금 모의계산

② 근로복지공단 퇴직연금 조회

DB형·DC형 퇴직연금 가입자의 경우 실제 적립금 확인 가능.

③ 4대보험 정보연계센터

정확한 근속기간을 조회할 때 가장 유용합니다.

▶ 검색: 4대보험 정보연계센터 가입이력 조회

④ 고용보험 토탈서비스

고용보험 가입기간을 통해 근속기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회사가 퇴직금을 미지급할 때 해결 절차

  • 14일 이상 지연 시 연체이자 발생
  • 내용증명 발송
  • 고용노동부 임금체불 진정 가능
  • 공인노무사 무료 상담 활용

6. 개인 맞춤 퇴직금 계산 도와드립니다

아래 네 가지만 알려주시면 실제 지급액에 근접한 계산을 제공합니다.

1) 최근 3개월 급여 총액
2) 입사일
3) 퇴사일
4) 상여금(연간)

핵심 키워드

퇴직금 계산, 퇴직금 조회, 평균임금 계산, 근속연수 확인, 고용노동부 퇴직금, 퇴직연금 조회, 4대보험 조회, 근로복지공단, 시니어 재무, 퇴직 준비

 

반응형